약 관련, 보건 이야기

세척공정 밸리데이션 - 계획 설정 문제점 해결 등

faithful-information 2025. 2. 25. 13:10

의약품 제조에서 세척공정 밸리데이션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교차 오염, 미생물 오염, 유기용매 오염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저한 계획과 평가를 통해 세척 공정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오염의 유형과 시설 관리

세척 공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오염 유형에는 뭐가 있을까요?

  • 교차 오염: 이전 공정에서 남은 잔여물이 다음 제품에 혼입되는 경우
  • 미생물 오염: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미생물 오염
  • 유기용매 오염: 용매가 잔류하여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경우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설과 장비를 분리하고 간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전용시설: 항생제, 세포독성 및 생명공학 제제, 알레르기 유발 제제 등 특정 제품을 위한 시설
  • 준전용시설: 제품군별 전용 구역을 정하거나 동일한 시설 내에서 작업 구역을 지정하는 방법

 

세척 밸리데이션 계획

세척 밸리데이션 종합계획

세척 밸리데이션의 목적은 공정이 적합하고 일관적임을 문서화하고, cGMP 규정을 준수하는 것입니다.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세척 전략 및 접근법
  • 개발 구역에서의 세척
  • 대표 제품 선정 (worst-case 선정)
  •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잔류물 허용한도)
  • 한도설정 기준
  • 샘플링 방법 및 책임 부여
  • 일정 및 검토 절차
  • 설비 적격성 평가 (IQ, OQ 수행 필요)
  • 자동세척장치 및 관련 컴퓨터 시스템 밸리데이션
  • 작업자 훈련 및 문서화

밸리데이션 계획서 요소

밸리데이션 계획서에는 세척 공정이 일관되고 효과적으로 수행됨을 검증하기 위한 내용들이 포함됩니다.

  • 범위: 장비, 시설, 공정, 제품을 포함
  • 목적: 제품, 세척제, 박테리아의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지 검증
  • 샘플링 계획: worst-case 지점에서 스왑(swab) 또는 린싱법을 이용해 샘플링
  • 분석방법: LOD(검출한계), LOQ(정량한계), 회수율(recovery factor) 설정
  • 허용기준: 육안검사, 샘플 분석(스왑법, 린싱법)을 통해 세척 적합성 검증
  • 문서화 및 교육: 모든 절차를 문서화하고, 작업자 교육을 포함

 

허용기준 및 한도 설정

  • 제품의 특성 (완제의약품 vs 중간체, 무균 vs 비무균)
  • 제품의 독성 및 복용량
  • 투여 방법 (경구제, 주사제 등)
  • 오염원 제품의 용해도 및 세척 용매 특성
  • 세척 과정의 특성 및 장비 구조
  • 배치 사이즈 (배치가 작을수록 오염 위험 증가)

허용한도는 ADI(허용가능 1일 섭취량), NOEL(무해용량) 등의 개념을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척 공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무균제제 설비의 세척 문제

무균제제 생산 설비는 주성분, 첨가제, 세척제뿐만 아니라 미생물, 엔도톡신, 소독제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원료의약품(API) 시설 세척 문제

API 및 전구체, 중간산물은 의학적 복용량이 명확하지 않아 독성을 기반으로 한 한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유기용매 세척 한도 설정도 필요하며, 용매 회수를 위한 증발 및 응결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왑샘플링 문제

세척 샘플링 시 가장 세척하기 어려운 지점과 대표 지점을 포함해야 합니다. 적절한 샘플링 방법을 사용해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척공정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제조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철저한 계획과 검증을 통해 교차 오염을 방지하고, 최적의 세척 공정을 유지해야 합니다. 정확한 한도 설정과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여, 세척 공정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규제 적합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