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야기

백혈구 수치 높으면 ? - 백혈구 증가증 등 백혈구 관련 질환

faithful-information 2025. 5. 12. 16:16
반응형

외부 병원균과 싸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백혈구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우리 몸 어딘가에서 염증, 감염, 혹은 다른 이상 반응이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감기부터 시작해, 만성 염증 질환이나 심각한 혈액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을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백혈구 수치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들과 백혈구 증가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백혈구

백혈구 수치 높으면

  • 지속적인 발열이나 미열
  • 몸살기운, 근육통, 피로감
  • 관절통, 복통 등의 염증성 통증
  • 피부 발진 또는 붓기
  • 밤에 식은땀이 자주 나거나 식욕 저하
  • 감염 없이도 림프절이 부음

증상이 뚜렷하지 않더라도,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계속 높게 나오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평가가 꼭 필요합니다.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가 되면 백혈구 증가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백혈구 증가증

백혈구 증가증 (Leukocytosis)은 백혈구 수가 정상 범위(4,000~10,000/μL)를 초과한 상태를 말하며, 보통 감염, 염증, 면역 반응, 또는 혈액 질환에 의해 발생합니다.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심각한 병이라는 뜻은 아니지만, 원인을 잘 파악해야 정확한 대응이 가능합니다.백혈구 증가증은 세부적으로 유형을 나눠볼 수 있습니다.

 

호중구 증가증 (Neutrophilia)

  • 가장 흔한 백혈구 증가 형태
  • 주로 세균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증가
  • 외상, 수술 후 회복기, 흡연, 스트레스, 일부 약물 복용 후에도 발생 가능

호산구 증가증 (Eosinophilia)

  • 알레르기 반응, 기생충 감염,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에서 증가
  • 피부 가려움, 천명음, 소화 장애 등 동반 가능

호염기구 증가증 (Basophilia)

  • 드문 유형이며, 만성 염증 또는 골수성 질환과 관련
  •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에서 흔히 발견됨

단핵구 증가증 (Monocytosis)

  • 결핵, 말라리아, 브루셀라증 같은 만성 감염에서 주로 증가
  • 일부 자가면역 질환이나 암에서도 발견

림프구 증가증 (Lymphocytosis)

  • 바이러스 감염 시 흔히 나타남 (예: 감기, 간염, EBV 등)
  • 면역계 이상이나 백혈병, 림프종에서도 발견 가능

 

백혈구의 종양성 질환 (White Blood Cell Malignancies)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으로, 크게 림프계 종양과 골수계 종양으로 나뉩니다. 대부분은 백혈병 또는 림프종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림프계 종양 (Lymphoid Neoplasms)

림프절, 비장, 흉선 등 림프계 기관에서 발생하며, 주로 B세포, T세포, NK세포의 이상 증식이 원인입니다.

① 급성 림프모구백혈병/림프종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 어린이에서 가장 흔한 혈액암
  • 미성숙 림프모구가 골수에서 급격히 증식
  • 빈혈, 출혈 경향, 감염 위험 증가

②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 성인에서 가장 흔한 만성 백혈병
  • B세포 성숙은 되었지만 기능 저하
  • 면역력 저하, 반복적인 감염

③ 미만성 큰 B세포 림프종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 가장 흔한 비호지킨 림프종
  • 급격한 진행, 고열, 체중 감소, 야간 발한 동반

④ 버킷 림프종 (Burkitt Lymphoma)

  • 빠르게 자라는 B세포 종양
  • 8번 염색체의 MYC 유전자 변이
  • EBV 감염과 연관

⑤ 호지킨 림프종 (Hodgkin Lymphoma)

  • 리드-슈테른베르크 세포가 특징
  • 무통성 림프절 종대가 주요 증상

골수계 종양 (Myeloid Neoplasms)

골수에서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①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 AML)

  • 미성숙 골수세포 증식
  • 빈혈, 출혈, 면역저하
  • 주로 성인에게 발생

② 골수형성이상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s, MDS)

  • 혈액세포 생산이 비효율적
  • 골수이식이 유일한 치료법

③ 만성 골수성 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 BCR-ABL 융합 유전자와 연관 (필라델피아 염색체)
  • 초기에는 무증상이지만 진행되면 급성 백혈병으로 변형 가능

백혈구 종양의 원인과 발병 요인

  • 유전자 이상: 예: BCR-ABL 돌연변이, MYC 유전자 변이
  • 유전적 소인: Bloom 증후군, 판코니 빈혈 등
  • 바이러스 감염: EBV(엡스타인-바 바이러스), HTLV-1 등
  • 환경 요인: 방사선, 벤젠 등 유해 화학물질
  • 만성 염증: 지속적인 염증 반응이 유전적 변화 유도 가능

진단

  • 혈액검사(CBC): 백혈구 수, 백혈구 유형 분석
  • 골수검사: 백혈구 생성 이상 여부 파악
  • 유전자 검사: 필라델피아 염색체, MYC 변이 확인 등
  • 면역표지자 검사: 백혈구 유형, 림프구 아형 분석

치료

  • 항암 화학요법: 대부분의 백혈구 종양에 1차적으로 사용
  • 골수 이식: 고위험군 백혈구 질환에서 시행
  • 표적 치료제: BCR-ABL 저해제(이마티닙 등)
  • 면역 치료: CAR-T세포 치료 등 최신 치료 기법

 

백혈구 수치가 높다는 것은 단순한 감염 반응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심각한 혈액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백혈구 수치가 정상보다 높게 유지되는 경우, 반드시 그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전문의와의 상담 및 정밀검사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역 건강은 삶의 질과 직결되기 때문에, 평소 건강검진을 꾸준히 받고 신체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