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야기

폐부종 증상 원인 치료 예방법 등 총정리

faithful-information 2025. 3. 31. 18:08
반응형

폐부종은 폐의 간질 조직과 폐포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질환으로, 심각한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폐는 정상적으로 공기를 받아들이고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지만, 폐부종이 발생하면 폐포가 체액으로 차면서 정상적인 호흡 기능이 저하됩니다.

 

폐부종은 발생 원인에 따라 혈류학적 폐부종(Hemodynamic Pulmonary Edema)과 폐포 손상에 의한 폐부종(Edema Caused by Microvascular Injury)으로 나뉩니다. 이를 이해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폐부종 원인 및 특징

* 혈류학적 폐부종

혈류학적 폐부종은 폐의 혈액순환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유형으로, 주로 폐정맥의 압력 증가가 주요 원인입니다.

 

정수압(폐정맥압)의 증가

  • 좌심실 기능 상실(심부전, 심근경색): 좌심실이 혈액을 원활하게 내보내지 못하면 폐정맥의 압력이 증가하여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용적 과부하: 과도한 체액 축적으로 인해 폐혈관 내압이 상승하면서 체액이 폐로 유출됩니다.
  • 폐정맥 폐쇄: 폐정맥이 막히거나 좁아지면서 혈류가 원활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투압 감소

  • 저알부민혈증: 알부민은 혈액 내에서 삼투압을 유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알부민 수치가 낮아지면 혈관 내 체액이 조직으로 빠져나가 폐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신장이 손상되면서 단백질이 과도하게 소실되어 혈장 삼투압이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 간질환: 간경화 등의 질환으로 인해 단백질 합성이 저하되면서 혈액 삼투압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단백질 소실 장병증: 소장에서 단백질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면서 삼투압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림프관 폐쇄

  • 림프관은 조직 내 여분의 체액을 회수하는 역할을 하지만, 폐 림프관이 막히면 체액이 정체되어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된 폐울혈의 결과

  • 승모판 협착증과 같은 만성적인 폐울혈이 지속되면 폐포벽이 두꺼워지고 섬유화되며, 폐조직이 단단해지는 갈색경화(Brown Induration)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폐의 탄성이 저하되고, 가스 교환이 더욱 어려워져 만성 호흡부전으로 이어질 위험이 큽니다.
반응형

* 폐포 손상에 의한 폐부종

이 유형의 폐부종은 폐포벽과 모세혈관이 손상되면서 염증성 삼출액이 폐 조직과 폐포 내로 유입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손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하면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으로 진행될 수 있어 위험합니다.

 

직접 손상

  • 감염(폐렴, 패혈증): 세균,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폐포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가스 흡입(고농도 산소, 연기): 독성 가스를 흡입하면 폐포가 손상되면서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액체 흡입(위 내용물, 익수 사고): 위산, 물 등의 액체가 폐로 들어가면 화학적 손상과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치료: 폐에 직접적인 방사선 노출이 있을 경우 폐 조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간접 손상

  • 패혈증(Sepsis): 전신 감염이 폐 혈관을 손상시키면서 폐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수혈 관련 폐 손상(TRALI, Transfusion-Related Acute Lung Injury): 대량 수혈 후 면역 반응으로 인해 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상: 심한 화상 환자는 체액과 단백질 손실로 인해 폐부종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 약물(bleomycin, amphotericin B): 특정 항생제나 항암제 등이 폐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화학물질(헤로인, kerosene, paraquat): 독성 화학물질이 폐에 손상을 주면서 폐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쇼크 및 외상: 전신적인 혈압 저하와 염증 반응이 폐 혈관을 손상시켜 폐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폐부종 증상

폐부종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급성 폐부종의 경우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호흡곤란(Dyspnea): 특히 누워있을 때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청색증(Cyanosis):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피부와 입술이 푸르게 변할 수 있습니다.
  • 기침과 분홍빛 가래: 혈액이 섞인 거품 같은 가래가 나올 수 있습니다.
  • 빠른 호흡과 불규칙한 심장 박동: 폐가 체액으로 차면서 신체가 산소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과호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불안감과 극심한 피로: 산소 부족으로 인해 신체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폐부종 치료

  • 산소 공급: 저산소증을 개선하기 위해 산소 치료를 시행합니다.
  • 이뇨제 사용: 폐부종으로 인한 체액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이뇨제를 사용합니다.
  • 혈압 및 심장 기능 관리: 심부전이 원인인 경우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 감염 치료: 폐렴이나 패혈증이 원인이라면 항생제 치료를 시행합니다.


폐부종 예방

  • 만성질환 관리: 심부전, 신장질환 등의 기저질환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 건강한 생활 습관: 적절한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 금연 및 환경 관리: 흡연과 독성 물질 노출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