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폐
무기폐(허탈)는 폐의 불완전한 확장 혹은 이전에 팽창되었던 폐가 수축하여 허탈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무기폐가 발생하면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호흡곤란이나 저산소증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기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폐의 특정 부위에서 국소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고, 심한 경우 폐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장기간 침상 안정 상태에 있는 환자나 수술 후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날 수 있으며, 기도 폐쇄, 폐렴, 외상 등으로 인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무기폐 유형
무기폐는 크게 흡수무기폐, 압박무기폐, 수축무기폐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유형은 원인과 기전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흡수무기폐
Absorption Atelectasis
흡수무기폐는 기도가 완전히 폐쇄되면서 발생하는 유형의 무기폐입니다. 기도 폐쇄로 인해 폐의 특정 부위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고, 기존에 있던 공기가 점차 흡수되면서 폐포가 쪼그라들어 무기폐가 발생하게 됩니다.
<흡수무기폐의 주요 원인>
- 기도의 과도한 분비물: 점액이 기도를 막아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소기관지 내 삼출물: 염증 반응이나 감염으로 인해 기관지 내 삼출물이 형성되면 기도가 막혀 무기폐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이물질의 흡입: 음식물, 이물질 등이 기도로 유입되면서 기도를 폐쇄할 수 있습니다.
- 기관지 종양의 파편: 드문 경우지만, 기관지에 종양이 존재하는 환자에서 종양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기도를 막아 무기폐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흡수무기폐는 장기간 발생할 경우 감염 위험이 증가하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압박무기폐
Compression Atelectasis
압박무기폐는 흉강 내에 체액, 종양, 공기 등이 차면서 폐가 외부에서 눌려 무기폐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유형의 무기폐는 외부의 압력이 폐를 압박하여 정상적인 팽창을 방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압박무기폐의 주요 원인>
- 흉강 내 체액 증가: 흉막삼출(pleural effusion)으로 인해 폐가 압박될 수 있습니다.
- 종양: 흉강 내 종양이 커지면서 폐를 눌러 무기폐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흉(pneumothorax): 폐 주변의 공기가 흉강 내로 유입되어 폐가 제대로 확장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 혈흉(hemothorax): 외상이나 출혈로 인해 흉강 내 혈액이 차면서 폐가 압박되는 경우입니다.
압박무기폐는 빠르게 치료해야 하는 응급 상황일 수 있으며, 특히 기흉이나 혈흉이 심한 경우 흉관 삽입 등의 의료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축무기폐
Contraction Atelectasis
수축무기폐는 폐 조직이나 흉막이 섬유화되면서 폐의 정상적인 확장이 방해될 때 발생합니다. 이는 폐의 탄성이 줄어들어 폐포가 원래 크기로 돌아가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축무기폐의 주요 원인>
- 폐 섬유화: 결핵, 폐렴 등의 만성 질환으로 인해 폐 조직이 섬유화되면서 폐가 완전히 팽창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흉막 섬유화: 흉막염, 외상, 수술 후 발생할 수 있으며, 흉막 조직이 섬유화되면서 폐가 수축됩니다.
- 장기간의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이나 폐결핵 등 장기간 폐 질환을 앓은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축무기폐는 일반적인 무기폐와 달리 비가역적인 경우가 많아 치료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예방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폐 재활 치료나 약물 치료를 통해 폐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기폐 증상
- 호흡곤란(Dyspnea): 폐의 확장이 원활하지 않아 숨쉬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산소 부족(Hypoxia): 혈액 내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피부가 푸르게 변하는 청색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흉통(Chest Pain): 기도가 막히거나 폐가 압박되면서 가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침(Coughing): 무기폐가 진행되면 기침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발열(Fever): 무기폐가 감염과 관련이 있을 경우 발열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무기폐 치료법
- 기도 청소: 흡인(석션)이나 기침 유도 등을 통해 기도를 막고 있는 분비물을 제거합니다.
- 산소 치료: 산소 공급이 부족한 경우 산소 치료를 시행하여 호흡을 돕습니다.
- 기관지 확장제 사용: 기관지를 넓혀주는 약물을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합니다.
- 체위 배농(Postural Drainage): 특정 자세를 유지하여 기도를 따라 분비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돕습니다.
- 수술적 치료: 종양, 이물질 제거 등이 필요할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무기폐 예방법
- 깊은 호흡 운동: 장기간 침상 안정이 필요한 환자는 심호흡 운동을 통해 폐의 확장을 유지해야 합니다.
- 적절한 기침 유도: 기침을 통해 분비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술 후 조기 보행: 수술 후 가능한 빨리 움직이는 것이 폐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적절한 수분 섭취: 기도 내 분비물을 부드럽게 유지하여 기도 폐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무기폐는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증상이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부종 증상 원인 치료 예방법 등 총정리 (2) | 2025.03.31 |
---|---|
면역계와 과민반응: 제1형~제4형 면역반응 정의 기전 질환 과민반응 치료법 예방법 (0) | 2025.03.31 |
면역계란? 면역계 유형 면역세포 종류 면역계 작동과정 등 총정리 (0) | 2025.03.29 |
기후변화 질환 기후변화질병 원인 감염병 -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 양상의 변화, 어떤 영향을 미칠까? (1) | 2025.03.29 |
기흉: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