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상처가 생기면 피가 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양한 메커니즘을 작동시킵니다. 이를 지혈(hemostasis)이라고 하며, 신체 내부에서 혈액이 과다하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생리적 과정입니다. 지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다 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과도한 응고가 일어나면 혈전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혈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출혈 장애가 발생하는 원인과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혈 단계
지혈은 일차 지혈(primary hemostasis), 이차 지혈(secondary hemostasis), 그리고 항혈전 과정으로 나뉘어집니다. 이 과정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혈관 손상이 생겨도 출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혈관 수축(Vascular constriction)
혈관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수축하여 혈류를 감소시킵니다. 이 과정은 엔도텔린(endothelin)이라는 혈관 수축 인자가 분비되면서 더욱 강화됩니다.

일차 지혈(primary hemostasis)
일차 지혈은 혈소판이 손상된 부위에 모여 응집하여 일차 혈전(platelet plug)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 혈관 내피가 손상되면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 vWF)와 콜라겐이 노출됩니다.
- 혈소판이 GpⅠb 수용체를 이용해 vWF에 결합합니다.
-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모양이 변하고, 내부에서 ADP, 트롬복산 A2(TXA2) 등을 방출하여 추가적인 혈소판 응집을 유도합니다.
- 혈소판들이 서로 결합하여 1차 혈전을 형성합니다.
이차 지혈(secondary hemostasis)
일차 지혈이 이루어진 후, 보다 강력한 혈전이 형성되는 단계가 이차 지혈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혈액 응고 인자들이 활성화되어 섬유소망(fibrin meshwork)을 형성하게 됩니다.
- 손상된 부위에서 조직 인자(TF, tissue factor)가 방출됩니다.
- 응고 연쇄반응이 활성화되며, Factor X가 Factor Xa로 활성화됩니다.
- 활성화된 Factor Xa는 프로트롬빈(prothrombin)을 트롬빈(thrombin)으로 변환시킵니다.
- 트롬빈은 피브리노겐(fibrinogen)을 피브린(fibrin)으로 전환하여 강력한 혈전망을 형성합니다.
- 피브린망이 혈소판과 함께 엉겨 붙어 혈전을 더욱 안정적으로 만듭니다.
항혈전 과정(Antithrombotic process)
혈액 응고가 과도하게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항혈전 과정을 통해 혈액이 필요 이상으로 응고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t-PA)가 방출되면서 플라스민(plasmin)이 활성화됩니다.
- 플라스민은 혈전의 주요 성분인 피브린을 분해하여 혈전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 자연적인 항응고 인자(예: 단백질 C, 단백질 S, 항트롬빈 III)가 작용하여 불필요한 혈전 형성을 억제합니다.
출혈 장애
지혈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출혈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혈관벽 이상, 혈소판 기능 이상, 또는 응고 인자의 결핍에서 비롯됩니다. 주요 출혈 장애를 살펴보겠습니다.

혈관벽 이상으로 인한 출혈
혈관이 약하거나 손상되기 쉬운 경우, 출혈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마르팡 증후군(Marfan syndrome): 결합조직 이상으로 인해 혈관이 쉽게 손상됨
-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대동맥 벽이 찢어지면서 출혈 발생
- 복부 대동맥류(Aortic aneurysm): 대동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면서 출혈 위험 증가
혈소판 관련 출혈 장애
혈소판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부족하면 혈전 형성이 어렵습니다.
-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혈소판 수가 감소하여 출혈 위험 증가
- 글란츠만 혈전무력증(Glanzmann's thrombasthenia): GpⅡb/Ⅲa 수용체 이상으로 혈소판 응집 장애
응고 인자 이상으로 인한 출혈
혈액 응고 인자가 부족하면 혈전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습니다.
- 혈우병(Hemophilia): 응고 인자 Ⅷ(A형 혈우병) 또는 Ⅸ(B형 혈우병)의 결핍
- 파브리병(Fabry disease): 라이소좀 저장질환으로 혈관 손상 증가
지혈 과정은 우리 몸을 보호하는 필수적인 생리 작용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전증이나 출혈 장애 같은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건강한 혈관을 유지하려면?
균형 잡힌 식습관 유지 (비타민 K 섭취)
규칙적인 운동으로 혈액 순환 촉진
지나친 항응고제 사용 주의 (필요 시 전문가 상담)
정기적인 건강 검진으로 혈액 응고 상태 확인
혈관 건강을 지키는 작은 습관들이 미래의 건강을 결정짓습니다. 미리 예방하고, 이상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의료진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룹 증상 원인 치료 예방 등 - 어린이들에게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 (2) | 2025.04.05 |
---|---|
인공수정 과정 확률 인공수정 시험관 차이 등 - 성공률 높이는 법, 주의사항 (0) | 2025.04.05 |
메니에르병 원인 증상 치료 진단 수술 등 총정리 (0) | 2025.04.04 |
부비동염 증상 원인 치료 합병증 등 총정리 (1) | 2025.04.04 |
빈혈 증상 빈혈 수치 원인 등 총정리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