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건강 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약물 치료는 노인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인데요. 노인은 신체 기능의 변화로 인해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이 달라지므로 보다 신중한 약물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인에서 나타나는 약동학적 변화와 약물 사용 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노인 약동학적 변화
위장관에서의 약물 흡수
노인의 경우 위장관 기능이 저하되면서 약물 흡수 속도가 변화할 수 있습니다.
- 위내 pH 증가: 위산 분비 감소로 인해 위 pH가 상승하면서 산성 약물(예: 철분제, 칼슘, 아스피린)의 흡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위 배출 시간 지연: 위에서 장으로 음식물이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약물의 흡수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능동수송기전 저하: 나이가 들수록 영양소와 약물을 흡수하는 능동수송기전이 감소하여 특정 약물(예: 비타민 B12, 칼슘, 마그네슘)의 흡수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약물 체내 분포 변화
나이가 들면서 체내 구성 성분이 변하는데, 이는 약물의 분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체내 총수분량 감소: 노인은 체내 수분량이 줄어들어 수용성 약물(예: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디곡신)의 혈중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체지방 증가: 체지방이 증가하면 지용성 약물(예: 벤조디아제핀, 바르비투르산염)의 분포 용적이 증가하여 약물의 작용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 혈장 단백 감소: 혈장 단백(특히 알부민) 수치가 감소하면 단백 결합률이 높은 약물(예: 와파린, 페니토인)의 유리형(활성형) 농도가 증가하여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이 강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간 약물 대사
노화에 따라 간 기능도 변화하면서 약물의 대사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 간 혈류량 감소: 노인은 간으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예: 프로프라놀롤, 니트로글리세린)의 대사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 간 효소 활성 변화:
- Phase I 대사 (산화, 환원, 가수분해 과정): 대사 속도가 감소하여 혈중 약물 반감기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벤조디아제핀, 페노티아진, NSAIDs, 항경련제, 경구 혈당강하제 등이 있습니다.
- Phase II 대사 (포합 과정): 비교적 변화가 적으며, 아세트아미노펜, 이소니아지드 등의 약물 대사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신장 약물 배설
신장은 나이가 들면서 기능이 저하되므로 신장에서 배설되는 약물의 배출 속도가 감소합니다.
- 사구체 여과율(GFR) 감소: 20세에서 90세 사이에 평균적으로 35%까지 감소합니다.
- 신장 배설능력 저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낮아지면서 신장에서 배설되는 약물(예: 디곡신,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리튬, 메트포르민)의 혈중 농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노인 약물 사용 시 주의할 점
다약제 사용(Polypharmacy) 주의
노인은 만성질환이 많아 여러 약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약물 사용은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중복 처방 확인: 같은 성분의 약물을 중복해서 복용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약물 상호작용 주의: 예를 들어, 와파린과 NSAIDs를 함께 복용하면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용량 조절 필요
노인의 경우 신체 기능 저하로 인해 약물의 대사 및 배설이 느려지므로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최소 용량에서 시작하여 천천히 증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경우 크레아티닌 청소율(GFR)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노인에서 피해야 할 약물
노인의 경우 특정 약물이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 | 주의할 이유 |
벤조디아제핀(디아제팜, 로라제팜) | 인지기능 저하, 낙상 위험 증가 |
항콜린제(디펜히드라민, 스코폴라민) | 혼돈, 요로폐색 위험 증가 |
NSAIDs(이부프로펜, 나프록센) | 위장 출혈, 신기능 저하 위험 |
1세대 항히스타민제(클로르페니라민) | 졸림, 인지 기능 저하 |
삼환계 항우울제(아미트리프틸린) | 기립성 저혈압, 부정맥 위험 |
노인 약물 복용 시 체크해야할 사항
- 정해진 시간에 복용해야합니다.
- 약물 보관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 어지러움, 혼돈, 낙상 위험 등의 부작용이이 있는지 관찰해야 합니다.(모니터링)
- 약사나 의사의 복약 지도를 충분히 듣고 올바르게 복용해야 합니다.
노인은 약물 대사와 배설 기능이 감소하기 때문에 약물 사용 시 보다 신중해야 합니다. 특히 다약제 복용과 약물 상호작용을 주의하고, 신체 기능에 맞는 적절한 용량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사나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안전한 약물 복용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한 노후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반응형
'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르페스 입술 포진 연고 아시클로버연고 헤르페스 1형 2형 증상 (0) | 2025.03.11 |
---|---|
약효를 떨어뜨리는 음식? - 병용 금기 약물 조합 총정리 (2) | 2025.03.11 |
임산부 변비약 둘코락스 임산부 지사제 임산부 설사약 임산부 설사 배아픔 (1) | 2025.03.09 |
임산부소화제 임산부속쓰림 임산부 위장약 소화안될때 임산부 베아제 텀스 (0) | 2025.03.09 |
임산부감기약 임산부코감기 임산부목감기 임신초기감기약 (1) | 2025.03.08 |